[4월 패널 토크 사전 질문 이벤트] ERP 운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사례 엿보기(~4/7)
페이지 정보
본문
2022년 4월 KSUG 패널 토크 사전 질문 작성 이벤트!
<ERP 운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사례 엿보기-사람을 중심으로 바라보기>
ERP 적용 시 재무/물류 프로세스 혁신으로 출발했습니다. 이제는 시야를 넓혀서 인적인 요소, 사용자들의 생산성 향상 그리고 회사 인사 측면에서의 연계까지 바라볼 때 입니다.
KSUG는 글로벌 컨설팅사인 딜로이트와 PWC, 그리고 ERP 솔루션 파트너인 오픈텍스트를 초대하여 ERP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사례를 KSUG 회원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유익한 정보가 제공될 예정이오니 여러분의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궁금한 점을 댓글로 남겨 주시면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드리니 자유롭게 남겨 주세요!
| 이벤트 기간: 2022.3.29(화) - 2022.4.7(목)
| 이벤트 경품: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 이전글3월 뉴스레터 '탄탄한 프로세스 구축이 ERP 성과를 높일 수 있다!' 확인해 보셨나요? 22.04.04
- 다음글2022 SAP DT 트렌드를 한 번에 다 알아보고 싶으신가요? (3/31 웨비나 진행) 22.03.24
댓글목록

Newone님의 댓글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통해서 정의된 프로세스에 따라 커스토마이징하여 구축한 이후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의도와 다르게 운영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시스템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과제들을 성공적으로 해결했는지, 운영 중 파생된 프로세스가 최초 설계된 프로세스와 충돌은 없는지 등 시스템 수명주기에 따른 진단 및 관리에 대해 소개해주실 만한 Best Practice가 있다면 듣고 싶습니다.

에비앙님의 댓글

ERP 도 직원수 규모에 따라 구축 비용을 달리가져갈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는지요. 또한 기업 도메인에 맞도록 커스터 마이징이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관심유저님의 댓글

회사에서 ERP 를 사용하는 부서와 업무가 경영파트와 계약부서, 재무/회계 업무 로 한정적입니다.
인사부서에서도 엑셀과 그룹웨어로 조직과 kpi 를 관리하고 있어
경영진도 ERP는 재무/회계 도구로 생각하고 디지털전환이나 생산성향상과는 거리가 먼 업무도구로 생각합니다.
사용자들의 생산성 향상은 어떠한 업무분야와 조직들이 해당하는지 궁금하고
인사 측면연계라 한다면 일반적인 채용/평가 외에 교육/역량강화 등의 분야도 접목될 수 있는지 궁금하고
ERP 를 가장 많은 분야에 극대화 하여 사용하는 범위로는 어떤 업무들과 어떤 분야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앤퍼니님의 댓글

제가 생각하는 운영 효율화 방안은 시스템 구성을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설계하는 것과 운영인력 Resource를 적정하게 투입해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하는 것이 있을 것 같은데,
본 패널토크에 운영인력 Resource 효율화 방안에 대해서 대루어졌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예시) 운영인력 적성 수준을 판단하는 근거..., 관리법인이 늘어났을 때(회사코드 추가) 운영 인력증원 필요여부 판단 기준이나 사례

데오님의 댓글

ERP의 효율적 사용은 결국 시스템 그리고 프로세스를 정형화, 표준화 하고 인적불안요소를 배제시키기 위해 전동화, 자동화로 가야되는데
중소기업은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한정적인 자원으로 효율성을 극대화 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로 사용자의 역량변화가 가장 접근하기
쉬운 방법중에 하나라고 생각이 됩니다. ERP 운영만 놓고 봤을때 세부적으로 쪼개서 업무의 단순화를 통해 인적오류를 줄이는 편이 좋을까요?아니면
모듈간의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고려했을때 본인영역뿐만 아니라 연계영역까지 고려할수 있도록 사용자의 업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투자를 하는 것이 좋을까요?


오로디님의 댓글

현재 erp 도입하여 사용중입니다. 사용자의 문제인지 저희 업무 프로세스의 문제인지 물류/생산/재무 뭐 하나 맞는게 없네요. 성공적인 erp 도입 및 사용을 위해 사용자의 교육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ㅠㅠ절박합니다.


FBI수사관님의 댓글

[질문] 데이터가 많아지면 외부의 침입 위협에 노출됩니다. 방지하는 방안과 검색을 용이하는 알고리즘이 있는가요.


나나님의 댓글

ERP 운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사례라니 굉장히 궁금하네요!
요새 재택근무를 하는 것도 있고, 여기저기 회계 관련 사건이 터져서 이러한 것을 모두 넣어서도
효과적인 ERP 운영을 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이 있을까요 ?
장단이 모두 있을 것 같아서요 ^^ 기대하고있을게요!

tj1156님의 댓글

석세스 팩터의 HR(HCM) 모듈과의 연계 접점이 궁금하며, Analytics cloud 및 Digital Board Room까지 정보 Roll-up/Visualize시 일반적인 케이스나 예시가 궁금합니다.

hckim님의 댓글

운영을 하다보면 데이터가 방대해지고, 이메일/사진등 비정형 데이터 또한 급격히 증가합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최형빈님의 댓글

ERP 출장경비 지급 사용내역 증이 서류 등 일일이 처리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처리하는 부분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미스항님의 댓글

클라우드 환경속에서 ERP시스템의 활용성을 증가할수 있는 사례가 많을것으로 판단됩니다. 좋은 가이드가 있으면 소개 바랍니다

신짜오님의 댓글

기존 구축된 ERP에서 새로 적용되는 신규 시스템의 도입 변화를 위해 선택해야 하는 조건을 알고 싶습니다. 기존에서 이관 가능한 부분과 새로운 개선 방향 등입니다

이른마스크님의 댓글

내부 설득을 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증빙을 할 수 있다면 가장 좋은데, 사람 중심 효과를 측정할 만한 객관적 지표, 인증, 널리 알려진 방법론, 정량적인 사례가 있는지요?


leelak72님의 댓글

S/4HANA 전환 이후 가장 이슈 되는 부분은 전환에 대한 정량적인 결과가 중요 할 것 같습니다.
업무 영역별(재무,회계,물류,영업등) 공통 프로세스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례 공유가 궁금합니다.
(실제 사례가 많다면 S/4HANA 로 ECC 에서 넘어가는 좋은 자료가 될 것 같습니다.)


KSUG님의 댓글

1. ERP 도입 솔루션에 따라 대중화된 솔루션에 맞춰 업무 프로세스를 바꾸는 것이 좋을지, 커스터마이징을 해서라도 우리 업무 프로세스에 맞게 솔루션을 수정하는 것이 좋은지, 컨설팅 경험상 어떤 것이 더 효율적이었는지 궁금합니다.
2. ERP의 기대수명은 몇년정도 되나요? 커스터마이징 비용을 계속 투입하는 것이 좋을지, 아예 다른 솔루션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을지를 결정할때, 고려사항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ugtree님의 댓글

COVID 19 Pandemic으로 인한 언택트 시대에 비대면 업무를 많이 하는 기업의 경우
기존의 ERP 시스템을 보다 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안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ksman님의 댓글

기업에서 ERP를 기업의 상황에 맞게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는 경우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점검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진짜O형님의 댓글

ERP 현재 프로세스가 효율적이지 못해도 더 이상 개선할 수 없는 상태일 수도 있는데요.
이런 부분에서 효율성을 올려줄 수 있는 부차적인 방안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김정훈님의 댓글

당사는 글로벌 기업이었으나, 최근 국내 회사에 인수되어 SAP 를 새롭게 구축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본사의 SAP를 참조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당사의 재무/물류 프로세스의 분석부터 시작해야 하는 상황인데요. 이 경우 전통적인 PI 없이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방법론이 있는지요?


EricLee님의 댓글

국내 기업은 글로벌 스탠다드보단 사용자에 맞게 ERP를 커스트마이징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많은데요.
이로 인해 프로세스 및 담당자 변경, 업그레이드 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데요.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업무 프로세스 표준화, 최적화를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할까요?

배터리나라님의 댓글

ERP 적용 시 재무/물류 프로세스 혁신으로 출발했지만 현재는 타 영역으로 확장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생산성 향상을 위한 DX관점에서 향용할 수 있는 모듈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nwksb0834님의 댓글

주4일제와 재택 근무를 감안한 인당 생산성 향상을 위해 향후 어떻게 업무 프로세스가 변화 해야 할까요?